웹/웹 기초

# TCP_기초

묘나 2021. 2. 11. 23:32
728x90
반응형
SMALL

<TC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>

 

: 전송 제어 프로토콜

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(=프로토콜)

근거리 통신망이나 인트라넷, 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 옥텟을 안정적으로, 순서대로,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. 

 

TCP는 웹 브라우저들이 월드 와이드 웹에서 서버에 연결할 때 사용

이메일 전송이나 파일 전송에도 사용된다.

 

보통 하위 계층에서 사용하는 IP와 엮어서 TCP/IP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.

 

TCP는 전송계층에 위치

동일 계층에서 사용하는 또다른 프로토콜로 UDP가 존재한다.

 

TCP의 안정성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, 비접속형 UDP를 사용 

-> 이것은,

-> 전달 확인 및 순차 보장 기능X

-> 그러나, 오버헤드가 작고 지연시간이 짧다는 장점 O

 

 

- TCP 특징

 

"Three Way Handshake"

"세 방향 악수"

 

1) 상대에게 -> 통신을 하고 싶다는 메세지 전송 (SYN)

 

2) 상대는 -> 그 메세지에 대한 응답 + 자신도 통신 준비가 되었다는 메세지 -> 전송 (SKN-ACK)

 

3) 2)에서 받은 메세지에 응답을 보냄 (ACK)

 

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나 - 상대 간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음을 보장

기존의 회선 교환 방식과 유사하나, 단순히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만을 보장해 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.

 

 

 

* 회선 교환 방식

 

: 회선 독점을 위한 통신 방식

 

 

통신 회선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-> 모든 데이터는 동일한 경로로 전송됨

->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 

-> point-to-point 방식으로 연결됨

-> 통신 중 중간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, 전체 연결에 문제가 생김 -> 새로운 회선 할당 필요

 

 

728x90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