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컴파일러는
“개발 편의성은 떨어지지만, 실행 속도는 빠르다.”
(저수준 언어의 특징)
인터프리터는
“개발 편의성이 높지만, 실행 속도는 느리다.”
(고수준 언어의 특징)
고/저 수준 언어와 동일한 특징이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에서도 각각 나타나고 있다.
그래서 언어 마다 주로 쓰이는 실행 방식이 있다.
고수준 언어는 개발 편의성이 생명인 언어인데, 컴파일 과정을 매번 거쳐야 한다면,
그 장점을 다 잃고 만다.
그래서 파이썬, 루비같은 고수준 언어는 인터프리터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.
반면, 저수준 언어는 개발 과정이 좀 힘들더라도, 어떻게든 최고의 성능, 효율, 속도를 만들어내고자 한다.
그런데 그게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실행되어서, 느린 환경에서 실행된다면,
힘들여서 저수준 언어로 개발한 이유가 다 사라지고 만다.
그래서 C, C++ 같은 저수준에 비교적 가까운 언어들은 컴파일 방식으로 실행되는 경우가 많다.
728x90
LIST
'기타 등등 > 프로그래밍 관련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밍_유용한 프로그램들 (0) | 2021.09.17 |
---|---|
좋은 코드를 찾는 법_더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법 (0) | 2021.09.17 |
스타일 가이드 활용_더 읽기 쉬운 코드 작성하기 (0) | 2021.09.16 |
티스토리/블로그에 코드 게시하는 법 (0) | 2021.09.16 |